티스토리 뷰
자 1탄에서는 작성을 위해 알아야하는 항목들을 알아봤습니다.
(1탄과 2탄 사이에 버그가 터져서 기간이 길어진건 안비밀)
그럼 이번엔 진짜 프로젝트에 만들어봐야겠죠?
1. 파일 만들기
- File > new > file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실 겁니다.
- 여기서 App Privacy 눌러주세요. (안보이시면 스크롤 조금 내리시거나 검색해주세요.)
- 그러면 아래처럼 PrivacyInfo 라고 뜰텐데 이름 냅두고
- 아래 보이시는 Target에 자기 앱 체크해주세요. (각자 앱에 맞게 선택해주세요.)
- 그럼 이런 손바닥 모양이 나올텐데 그럼 일단 파일은 만들어진 겁니다.
2. 항목 만들기
- 처음 보면 아무것도 안보이실 겁니다. (정상입니다.)
- App Privacy Configuration 옆의 + 버튼을 눌러서 항목을 추가할께요.
- 종류별로 하나씩 추가할께요. (+ 버튼 누르면 알아서 하나씩 생깁니다 - 총 4개)
- 각 항목이 뭔지 알아두는 편이 좋겠죠?
https://developer.apple.com/documentation/bundleresources/privacy_manifest_files
Privacy manifest files |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
Describe the data your app or third-party SDK collects and the reasons required APIs it uses.
developer.apple.com
- 위 링크에 적혀 있긴 하지만 좀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.
- Privacy Nutrition Label Types : 수집된 데이터 유형을 작성
- Privacy Accessed API Types : 사용된 API 와 사용 이유를 작성
- Privacy Tracking Domains : 앱 / SDK 가 수집하는 데이터 유형을 미리 사전에 선언
- Privacy Tracking Enabled : 앱 / SDK 가 추적을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는가
- 이전 편에서 왜 데이터들과 API 에 대해 이야기한 건지 눈치 채셨나요?
- 저희는 아래 두개 (Privacy Tracking Domains/Privacy Tracking Enabled)는 안쓰니 저 상태로 둘께요
3. 내용 채우기 (API / Privacy Accessed API Types)
- 제가 만든 앱에서는 조건에 걸리는 API가 하나 뿐이니까 이거 먼저 작성해볼께요.
- 처음에 아이템 추가하시면 아무것도 없으실꺼에요
- + 버튼 눌러서 Privacy Accessed API Types / Privacy Accessed API Reasons 추가 해주세요.
- 눈치 채신 분들도 있을것같지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.
- Privacy Accessed API Types : 사용한 API 종류
- Privacy Accessed API Reasons : 사용이유 (여러개 선택 가능이라 Array)
- 지난 번 포스트에서 제가 종류랑 사용이유를 나열한 이유입니다.
- 참고로 입력할때 아래 처럼 뜨기 때문에 생각보다 편해요.
- 이유도 마찬가지 입니다.
- 다만 자신이 고른 API Reason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!
4. 내용 채우기 (Data / PrivacyNutrition Label Types)
- 이제 사용하는 Data를 넣어봅시다.
- 기본 모양은 아래처럼 생겼습니다. (+ 버튼으로 여러개 추가 할 수 있어요)
- 각각의 의미를 알아야 작성하는데 편하니까 알아봅시다.
- 이번엔 여기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Describing data use in privacy manifests |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
Declare the data collected by your app or by third-party SDKs.
developer.apple.com
- Collected Data Type : 수집하는 데이터 유형을 의미합니다. (리스트 중에 선택)
- Linked to User : 해당 데이터 유형이 사용자의 ID와 연결되는지를 선택합니다. (Bool)
- Used for Tracking : 해당 데이터를 이용해서 추적하는지 여부를 선택합니다. (Bool)
- Collection Purposes :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는 목적을 의미합니다. (리스트중에 선택)
예를 들어 지금 제 앱은 사용자 이름을 받아서 앱기능을 위해 사용중이라고 하면
리스트중에 Name 을 선택해주고
아래처럼 목적을 선택해주면 됩니다.
그러면 이런 모양이 되겠죠?
이런 식으로 본인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추가해 주시면
생각보다 간단하게(?) 완성입니다.
그럼 이상태로 앱스토어 제출 후 애플의 반응을 봅시다
3탄에서 만나요~
오늘도 파이팅입니다~
**후일담**
진짜 위에 언급한 것들만 추가한 채로 앱스토어에 심사 요청을 넣었는데
애플이 빠진 부분 채워달라고 투덜거립니다.
저도 모르게 사용하는 항목들이 더 있었던 모양입니다.
3탄에서는 애플의 대답과 대응 후 결과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역시 정확한 건 제출해보는게 제일인 것 같네요
5월1일 전이라서 지금은 통과시켜주지만
그후엔 가차없이 탈락시킬것같아 무섭네요.
'iOS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code 앱 라이트 / 다크 모드 설정 고정하기 (0) | 2024.04.19 |
---|---|
[실험] Privacy manifests 를 제출해보자 - 3탄 (0) | 2024.04.18 |
[실험] Privacy manifests 를 알아보자 - 1탄 (0) | 2024.04.03 |
Xcode 에러 : not available in automatic reference counting mode (0) | 2024.03.26 |
Xcode 에러 : NSPOSIXErrorDomainCode: 60 (0) | 2024.02.20 |